# 데이터 호출을 위해 필요한 라이브러리 import from urllib.parse import urlencode, unquote import requests import json import pandas as pd import math import numpy as np
# url 입력 url = "http://apis.data.go.kr/1160100/service/GetFnCoBasiInfoService/getFnCoOutl"
# queryString 입력 queryString = "?" + urlencode( { "serviceKey": unquote("*****"), # 공공데이터 사이트 가입 시 받은 본인의 서비스 키 입력 "pageNo": 1, "numOfRows": "10", "resultType": "json", "basDt": "20200408" } )
# 최종 요청 url 생성 queryURL = url + queryString
# API 호출 response = requests.get(queryURL) status_code = 200으로 정상적으로 호출됨을 확인 # 딕셔너리 형태로 변환 r_dict = json.loads(response.text) # 우리가 필요한 데이터 부문만 가져와 저장
# 오픈 API 호출 결과 데이터의 개수 확인 및 저장 numOfRows = r_dict["response"]["body"]["numOfRows"]
# 전체 데이터의 개수 확인 및 저장 totCnt = r_dict["response"]["body"]["totalCount"]
# 총 오픈 API 호출 횟수 계산 및 저장 loopCount = math.ceil(totCnt/numOfRows)
# 전체 데이터를 저장할 객체 선언 finalTotalData = pd.DataFrame()
# 오픈 API 호출을 총 오픈 API 호출 횟수만큼 반복 실행 for i in np.arange(loopCount) :
댓글